본문 바로가기
경제/ISSUE

2025년 청년도약계좌 9.54%적금 가입 조건 신청기간과 주의사항은?

by 정보공장장 사과 2025. 1. 6.
반응형

 

 

안녕하세요 쀼능입니다.

윤석열 정부가 내놓은 대표적인 청년 공약 가운데 하나인 청년도약계좌가 2일부터 신청기간이라 정리해보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정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마련한 제도로, 청년(만 19~35세)이 매달 70만원 한도로 적금을 부으면, 정부가 매달 최대 24,000원의 기여금을 더해 5년 뒤 최대 5천만원의 목돈을 마련해주는 정책 금융 상품입니다.

 

 

2024년 청년도약계좌와 2025년 청년도약계좌의 차이점

 

 

 

1. 2024년 청년도약계좌 는 기여금이 월 최대 24,000원이었지만,올해 2025년부터는 33,000원으로 확대되면서 기여금 총 금액도 최대 144만원에서 198만원으로 확대됩니다.

 

 

2. 청년도약계좌에 2년이상 가입하고 800만원 이상을 납입한 성실한 납입자는 신용점수가 5~10점 추가로 올라갑니다.

 

 

3. 하반기부터는 만기 전 일부금액을 인출할수 있는 <부분인출서비스>도 새롭게 제공됩니다. 2년이상 가입자는 누적납입액의 최대 40% 인출가능합니다.

 

 

4. 2024년에는 5년만기전 해지시 비과세와 기여금 지원이 없었으나, 2025년부터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으로 3년이상 가입시 중도해지해도 비과세와 기여금일부(60%)를 지원받을수 있어 연 최대 7.64% 수익효과를 기대할수 있습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나이

가입일 현재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사람

※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기간을 제외한 연령으로 계산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 한정, 비과세소득 제외)

-직전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 (근로소득 초과 시 제외, 비과세소득 제외) ※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전전 과세기간 소득을 기준으로 판단 ​

■가구소득

-직전 과세기간의 가구소득이 직전년도의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가구소득은 총급여, 종합소득, 사업소득, 연금소득, 종교인소득 등을 합산하여 산정

-가구원은 본인,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를 기준으로 판단 (미성년자 형제자매 및 부양 청년이 있는 경우 조부모 포함 가능)

※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전전 과세기간 소득 및 기준 중위소득 기준으로 판단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부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니어야 함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면 비과세 혜택 및 정부기여금 지급이 불가하며, 납입중지 처리됨 ​

 

자세한 가입요건은 서민금융진흥원 및 은행연합회를 통해 확인가능합니다.

 

 

 

위 사진에 나와있는 개인 요건 및 가구원 최신화부터 진행하시면 가입요건확인 및 진행경과까지 넘어갔을때, 내가 해당조건이 되는지 확인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주의사항

 

 

정부기여금은 소득이 낮을수록 많이 받을수 있는데요.

연간 총급여액이 2400만원 이하인 청년은 납입액에 대한 기여금 매칭비율이 6%입니다.

소득에 따른 기여금이 차등지급되기때문에 자신의 소득을 보고 판단해 가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중도해지시 일부 정부기여금을 받을수 있게끔 개편되었지만, 작년 해지율을 본다면 30%가 육박합니다.

그 이유는 목돈이 무려 5년동안 묶여있기 때문인데요.

최대 9.54%이율을 받을수 있는 적금이지만, 해지시 중도해지 이자율이 적용되어 이자율이 차감되기때문에 신중히 선택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매달 2일부터 신청받습니다.

아래는 신청기간부터 진행 날자를 확인할수 있는 달력입니다.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2025년이 되면서 바뀐것들, 그리고 신청기간과 가입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율이 어마무시하다고 광고하고있지만 해지율만 본다면 악명높은 적금입니다. 

이 글을 통해 주의사항에 대해 인지하고 미래를 보고 계산해 가입하는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